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1989년 설립 이래 우리나라 항공우주 분야의 연구개발을 주도하는 동시에 국가 항공우주 대표 기관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연구개발은 크게 첨단 항공기 개발, 인공위성 개발, 우주발사체 개발로 나뉘며, 국가의 법적위임을 받아 항공기 및 우주기기의 품질인증 업무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첨단 항공기 개발에는 스마트 무인기 개발사업과 한국형 헬리콥터 개발사업이 있고, 인공위성 분야는 다목적 실용위성 2호의 개발이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현재 다목적 실용위성 3호와 5호, 그리고 통신해양기상위성의 개발이 한창 진행 중에 있습니다. 우주발사체 개발을 위해서는 2002년 액체추진기관을 사용한 과학로켓 KSR-Ⅲ의 시험발사에 성공하는 등 기초기술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꾸준히 수행해 왔으며,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현재는 2007년 발사를 목표로 한 100kg급 저궤도 소형위성 발사체인 KSLV-Ⅰ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우주발사체의 개발과 더불어 2007년에는 우주발사장인 우주센터의 건설도 완공될 예정에 있어 명실상부한 우주개발국으로의 진입이 기대되는 바입니다. 아울러 2007년에는 한국인 최초의 우주비행사가 탄생되어 다음 세대에게 미래를 향한 꿈과 희망을 심어주게 될 것입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우리나라의 항공우주 기술개발을 선도하고,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항공우주 산업 경쟁력을 제고함으로써, 향후 10년 내에 항공우주 분야에 있어 세계적인 초일류 연구기관으로 발돋움하기 위하여 열과 성을 다할 것을 다짐합니다.
[
KARI 비전]

[
연구원 임무 및 기능]
1. 항공기, 인공위성, 우주발사체의 종합시스템 및 핵심기술 연구개발과 실용화
• 선도기술 학공기 개발, 항공기의 시험평가 및 국가개발사업 지원
• 인공위성 연구개발 발사 및 위성 이용기술 개발
• 우주발사체시스템 개발 및 우주센터 운영
2. 항공우주 안전성 및 품질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항공우주 생산품의 법적 품질인증
및 국가간 상호인증
3. 국가항공우주개발 정책수립 지원, 항공우주 기술정보의 유통 및 보급 ‧ 확산
4. 시험평가시설의 산 ‧ 학 ‧ 연 공동활용, 연구개발성과의 기술이전 및 기업화 지원,
기술협력 및 교육훈련
[
주요연구개발 분야]
